ESG
사회적 책임
MBC는 교육, 문화, 복지 등 다양한 분야의 콘텐츠를 제작하여 사회적 다양성과 포용성을 증진합니다. 또한 지역 사회와의 협력, 사회적 약자에 대한 지원, 공익 캠페인 등을 통해 더 넓은 범위에서 사회적 책임을 실천하고 있습니다.
MBC는 앞으로도 지속 가능한 사회를 만들기 위해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공영방송으로서의 역할을 강화해 나갈 것입니다. 다양한 사회적 기여 활동을 확대하고, ESG 경영을 통해 사회적 가치를 지속적으로 창출할 것입니다.


사회적 책임 경영
체계
- MBC 방송강령보러가기보러가기 아이콘
- MBC 프로그램 제작가이드라인 (3. 평화통일 및 국제 협력)보러가기보러가기 아이콘
- MBC 프로그램 제작가이드라인 (4. 공동체적 가치 추구)보러가기보러가기 아이콘
- MBC 프로그램 제작가이드라인 (5. 차별 금지 및 소수자 보호)보러가기보러가기 아이콘
- 방송출연 아동·청소년 권익 보호 준칙 (링크)보러가기보러가기 아이콘
사회적 책임 콘텐츠
-
<빈집살래 시즌3 - 수리수리 마을수리> (2023.6.1~2023.9.6)
전국 방방곡곡을 찾아 빈집과 지역을 재생시키는 프로젝트
-
<통일전망대> (2023 연중)
남북의 평화와 통일을 위해 북한 내부의 다양한 소식을 전하는 프로그램
-
<글로벌 도네이션 쇼 더블-유(W)> (2023 연중)
국내외에서 도움을 기다리는 아이들의 이야기를 담고 이들을 위로하는 무대를 통해 하나의 세상, 하나의 마음으로 위기를 이겨내자는 메시지를 전하는 프로그램
-
<MBC특별생방송> (2023 연중)
국내외의 재난 구호, 소수자 및 취약계층을 위한 특별 생방송. 2023년 '튀르키예-시리아에 희망을', '수해 극복 특별 생방송', '이웃사랑 특별생방송', '중소기업&소상공인에게 희망을' 등
-
<MBC시사교양 특집 프로그램> (2023 연중)
'MBC희망프로젝트 아홉 살 어른, 투르카나의 아이들', 'MBC희망프로젝트 어른없는 마을, 카라모자의 아이들', 'MBC 연중기획 특집 다큐 학교의 미래 일기', '2023 장애인의 날 특집 봄날의 기적' 등
-
<MBC다큐프라임> (2023.2, 2023.6)
MBC 연중 기획 인구 절벽과 관련한 특집 다큐멘터리. '도시재생 특집 다큐 오래된 미래도시로의 여행', '농어촌의 미래, 상생의 길을 찾다' 등
-
<MBC 뉴스데스크> (2023 연중)
뉴스룸 내 사회팀은 연중 사회적 책임과 관련한 의제를 발굴하고 보도. '장애인 이동권', '집회의 자유', '스쿨존 안전', '10.29 참사' 관련 연속 보도 등
-
<뽀뽀뽀 좋아좋아> (2023 연중)
어린이들의 행동 발달 및 정서 발달 전문가들의 자문을 통해 진행되는 유아교육 프로그램
-
<TV예술무대> (2023 연중)
클래식, 재즈, 팝, 가요 등 폭넓은 장르의 음악을 누구나 감상할 수 있도록 제작하는 프로그램
사회적 책임 사업
- 상암MBC사옥 보도본부 7층 뉴스룸에 MBC재난방송 전용스튜디오 설치운영. 향후 재난방송 전용 스튜디오를 유튜브용 ’디지털 재난방송센터’로 확대해 운영할 계획
- 각종 재난, 재해 발생 시 국민들에게 재난 상황, 대피, 예방 등의 필수 정보를 효율적이고 전문적으로 알리기 위해 대한토목학회, 한국수자원학회, 한국방재학회, 한국기상학회, 한국트라우마스트레스학회 등 재난 관련 주요 학회 및 기관과 업무협약서를하고 MBC재난자문위원 16인 위촉

- 공공미디어로 위상과 공적책무를 재정립하기 위하여 국내 언론 관련 학술단체에 지원하고 후원하고 있음
- 2023년에는 한국방송학회, 한국언론학회, 한국언론정보학회,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등 학술 단체를 지원하였고, (사)방송기자연합회 팩트체킹 공모전을 후원함
- 우수한 유소년 축구 선수 및 여자축구 선수를 발굴하여 지원하는 한편, 축구 문화 저변 확대를 위하여 MBC가 운영하는 재단(기본재산 50억원)
- 유소년 축구 선수 38명에게 장학금 전달 (2023.5)
- 지역아동센터 100개소에 축구공 100개 공기펌프 등 물품 지원 (2023.11)
지역적·문화적 기여
- 미래세대인 청소년과 대학생 및 대학원생, 그리고 취약 계층을 대상으로 MBC 제작 시설을 관람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
- 특히 MBC를 퇴직한 전문 미디어 해설사가 안내를 맡아, 제작 현장에 대한 깊이 있는 설명과 이야기를 전달
- 2023년 한해에만 연간 150회, 약 2,500명이 MBC 제작시설을 둘러봄


- 임직원이 자발적으로 1만원 이하의 급여우수리 기부하고 해당 금액만큼 회사가 기부(매칭 그랜트)하여 저소득층 중·고등학생의 장학사업을 지원하는 나눔을 실천
- 2023년은 약 4천 2백여만 원의 기부 금액으로 총 53명의 중·고등학생에게 장학금을 지원하여, 경제적인 부담 해소를 통한 장학생의 심리적 안정 및 안정된 학습 여건을 조성함
- MBC 표준FM <지금은 라디오시대> '사랑의 손길을 기다립니다' 코너를 통해 모아진 성금으로 '푸르메재단'과 함께 장애인 구강건강증진 지원사업을 실시
- 그 일환으로 이동치과진료에 본사 임직원이 자원봉사로 참여 (2023.6)
- MBC 예능 프로그램 <놀면 뭐하니?> 기부금을 통해 인공와우 수술 등 치료비를 받은 청각장애 청소년과 그 가족 등 21명을 초청 (2023.8)
- 아나운서와의 간담회를 비롯해 방송 현장 체험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사회공헌 활동의 지속성을 높이고 공영방송의 역할을 수행
- 서울시와 경기도 내 지역아동센터 14개소 어린이 220여명을 체험형 테마파크 시설인 키자니아에 초청 (2023.11)
- MBC 스튜디오를 비롯한 50여 개의 체험관에서 다양한 직업군에 대한 체험을 제공함으로써, 취약계층의 문화적 성장을 지원하는 데 집중

- MBC 예능 프로그램 <놀면 뭐하니?>가 밀알복지재단에 기부한 기부금을 통해 음악교육을 받은 아동·청소년을 초청하여 음악회를 진행 (2023.12.21.)
- 음악교육지원 대상 8팀(총 9명)이 참여하고 바이올리니스트 대니구와 피아니스트 문재원 등이 출연하여 특별 무대를 구성


구분 | 단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
기부금 | 억원 | 38.56 | 41.29 | 34.17 |
매출액 | 억원 | 7,775 | 8,602 | 7,436 |
매출액 대비 기부금 비율 | 억원 | 0.49% | 0.37% | 0.46% |
구성원의 다양성과
역량 개발
- MBC는 '콘텐츠 중심의 글로벌 미디어 그룹'이라는 비전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상력과 창의력을 두루 갖춘 인재를 선발하고 있음
- 취재기자, 영상기자, 아나운서, 제작(드라마, 예능, 시사교양, 라디오)PD, 콘텐츠전략PD, 방송촬영, 방송경영, 미디어엔지니어, IT, 콘텐츠 마케팅 등의 직무로 구분하여 공개채용을 진행하고 있으며, 각 직무에 적합한 평가 방식과 프로세스를 채택하고 있음
총 인원 현황
(매년 말 기준)구분 | 단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
임원 | 명 | 6 | 6 | 8 |
직원 | 명 | 1,439 | 1,471 | 1,488 |
계약직 | 명 | 224 | 257 | 245 |
합계 | 명 | 1,669 | 1,734 | 1,741 |
직위별 인원 및 여성인력 고용 현황
(괄호안은 여성, 매년 말 기준)구분 | 단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
임원 | 명 | 6 (0) | 6 (0) | 8 (1) |
국장 | 명 | 28 (5) | 33 (5) | 26 (2) |
부국장 | 명 | 14 (2) | 15 (5) | 10 (1) |
팀장 | 명 | 93 (12) | 93 (11) | 91 (12) |
미보직 사원 | 명 | 1,304 (354) | 1,330 (391) | 1,361 (471) |
계약직 | 명 | 224 (143) | 257 (167) | 245 (155) |
합계 | 명 | 1,669 (516) | 1,734 (579) | 1,741 (642) |
장애인 고용 현황
구분 | 단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
장애인 | 명 | 21 | 19 | 18 |
비장애인 | 명 | 1,642 | 1,709 | 1,715 |
직원합계 | 명 | 1,663 | 1,728 | 1,733 |
인재육성을 위한 교육비 현황
구분 | 단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
교육비 | 천원 | 234,794 | 654,087 | 257,406 |
매출액 | 천원 | 777,462,525 | 860,236,134 | 743,643,235 |
매출액 대비 교육비 | 천원 | 0.03% | 0.08% | 0.03% |
1인당 교육비 | 천원 | 162 | 443 | 172 |
- 인사평가는 직원의 인사 처우와 역량개발을 위해여 연 1회 실시하며 성과평가와 다면평가로 구분(상반기는 중간면담 실시)
- 성과평가는 대상 기간 동안 직원이 수행한 업무 실적을 절대평가 방식으로 실시
- 360도 다면평가는 동료 직원의 성과 역량을 평가하는 동료평가와 미보직 직원이 직속 상사의 조직 운영과 리더십을 평가하는 상사평가를 포함
- 성과평가에 대한 이의제기 절차를 갖추고 있으며, 이 경우 면담을 실시하고 인사위원회를 거쳐 최종 확정
- 근로시간은 취업규칙으로 1일 8시간, 주 40시간 근무를 원칙으로 하고 있음
- 근로자에게 최저임금 이상을 지급(2023년 기준 시급 9,620원/월급 2,010,580원)
- 직원의 근무 내용 또는 특수한 사정에 따라 법정 근로시간 범위 내에서 시차근무, 탄력근무, 교대근무, 선택근무 등 조정 가능
- 직원의 휴게 시간은 근무시간 4시간에 30분, 8시간에 1시간의 비율로 하며 업무 실정에 따라 일괄 또는 분할형 부여하고 있음
- 산업의 특성상 주간에 근무해야 하는 직원이 숙직 또는 장시간 근무 등으로 그 전날에 충분한 수면을 취하지 못한 경우에는 별도의 휴게시간을 부여하고 있음
- 가족돌봄휴가:가족의 질병, 사고, 노령 또는 양육으로 인하여 필요할 경우 연간 최장 10일 부여
- 가족돌봄휴직:가족의 질병, 사고, 노령 또는 양육으로 인하여 필요할 경우 연간 최장 90일 부여
- 가족돌봄 등을 위한 근무시간 단축:가족의 질병, 사고, 노령, 또는 양육, 직원 자신의 건강 돌봄, 55세 이상 직원의 은퇴 준비, 직원의 학업을 위해 직원이 신청한 경우 근무시간을 주당 15시간 이상 35시간으로 함
- 육아기 근무시간 단축:입양한 자녀를 포함하여 만 8세 이하 또는 초등학교 2학년 이하의 자녀를 가진 직원의 근무시간을 신청에 따라 주당 15시간 이상 35시간으로 함
- 육아휴직:입양한 자녀를 포함하여 만 8세 이하 또는 초등학교 2학년 이하의 자녀를 가진 직원에게 최대 18개월의 육아휴직 부여
- 난임치료 휴가:직원이 인공수정 또는 체외수정 등 난임치료를 받기 위하여 휴가를 청구하는 경우 연간 7일 이내 휴가 부여
- 난임치료 지원금:직원이 인공수정 또는 체외수정 등 난임치료를 받는 경우 지원금 지원
- 본사 직원 가족 초청 특별 사내 견학 운영:2023년 총 4회 실시하여 89가족 254명 참여
- 보건휴가:여성 직원이 원하는 날짜에 매월 1일 부여
- 태아검진휴가:임신 중인 여성 직원 또는 배우자가 임신 중인 직원에게 부여
- 출산휴가:여성 직원에게 출산 전후 100일 휴가 부여(쌍생아는 120일 휴가 부여)
- 출산휴가:여성 직원이 유산 또는 사산, 직원의 배우자가 유산 또는 사산한 경우 보호 휴가 보여
- 임신기 근무시간 단축:여성 직원이 임신 후 12주 이내 또는 36주 이후에 근무시간 단축을 신청하는 경우 1일 6시간, 1주 5일, 주 30시간 근무 허용
노사 협력
- 노사협의회와 편성위원회 등을 통해 경영과 편성에서 협력적 노사관계를 유지하고 있음
- 시청자위원회선정위원회 등 각종 공식 또는 비공식 위원회에 노사가 함께 참여함
- 노조 결성 및 가입의 자유(가입하지 않을 자유 포함)를 보장하고 있으며, 비가입자를 차별하지 않음
안전보건
- 산업재해를 예방하고 쾌적한 작업 환경을 조성하여 직원의 안전과 보건을 유지하고 증진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음
- 대표이사를 안전보건관리책임자로 하여 '산업안전보건법'에 따라 관련 업무를 수행하고 있음
- 최근 3개년 중대재해발생율을 0%로 유지
- 임직원 건강증진 활동으로 심폐소생술(CPR) 교육을 정기적으로 실시하고 있으며, 건강검진과 심리상담을 시행 중
- 특히 사건, 사고, 재난 등을 취재하거나 관련 내용을 제작한 직원들에 대해 임시 심리상담소를 설치하여 운영
정보보호
- 2015년 회사가 보유·운영하고 있는 유무형의 정보자산을 보호하기 위하여 '정보보호관리규정'을 제정하고 운영
- 이와 관련하여 '개인정보관리내규', '정보보호관리내규', '정보보호기술내규', '문서보안관리지침', '보안사고대응관리지침' 등을 제정하여 운영
- 매월 전사 정보보호의 날을 지정하여 정보보호 실태를 점검하고 취약한 지점을 보완함
- 정보보호 관련 법정 의무교육을 실시함
인권보호
- 2018년 성평등이 보장되는 조직문화를 구현하고 성희롱 또는 성폭력 신고와 공정한 처리를 위하여 '성희롱·성폭력관련처리내규'를 제정하고 운영
- 2019년 직원들이 안전하게 근로할 수 있는 조직문화를 구현하고, 직장 내 괴롭힘 행위에 대하여 신고 및 공정한 처리를 위하여 '직장내괴롭힘관련처리내규'를 제정하고 운영
- 관련 신고는 회사 클린센터, 회사 인사상담실, 그리고 근로자 대표 창구인 성평등위원회 등을 통해 가능
- 성희롱과 성폭력, 그리고 직장 내 괴롭힘 신고는 피해자뿐만 아니라 제3자도 가능하며, 제3자도 피해자와 동등한 보호를 받음
- 관련 신고가 접수될 경우 피해자 보호를 위한 조치를 위하고, 조사 결과에 따라 피해자에 대한 근무 장소의 변경, 전보, 유급휴가 부여 등의 조처를 함
- 성희롱과 성폭력, 그리고 직장 내 괴롭힘 등 인권침해 예방을 위하여 전사원을 대상으로 직장 내 성희롱 예방 교육, 직장 내 괴롭힘 예방 교육, 장애인 인식 개선 교육 실시하고 있음
- MBC의 보도와 방송 프로그램으로 초래된 인권침해를 구제하기 위하여 'MBC시청자주권위원회'라는 명칭의 고충처리절차를 두어 운영 중
협력사 동반 성장
- 외주사와 상생협의체를 구성하여 정기적으로 운영 중
- 외주프로그램 선정 과정의 공정성과 투명성 확보를 위해 외주프로그램선정관리위원회 내규, 외주프로그램선정 및 관리운영지침, 예능본부외주선정위원회내규, 드라마선정관리절차내규 등을 마련하여 운영 중
- 외주제작사와의 표준 계약서를 도입하여 운영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