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G
환경경영
MBC의 환경 경영은 단순한 환경 보호를 넘어서,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필수적인 경영 전략입니다. 기후 변화와 환경 오염이 전 세계적으로 심각한 문제로 대두됨에 따라, MBC는 공영방송의 사회적 책임을 다하기 위해 적극적인 환경 경영을 적극적으로 실천하고 있습니다.
MBC는 이러한 책임을 인식하고, 다양한 환경 기여 콘텐츠 제작과 환경 보호 캠페인을 통해 지속 가능한 사회를 만들어가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또한, 내부적으로는 온실가스 배출량과 폐기물 배출량을 줄이기 위한 다양한 정책과 실천을 통해 환경 경영 성과를 꾸준히 개선하고 있습니다.
MBC의 환경 경영은 단순히 기업의 이미지 제고를 넘어, 실질적인 환경 보호와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구체적인 행동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MBC는 앞으로도 환경 경영을 지속적으로 강화하여, 공영방송으로서의 책임을 다하고, 모든 이해관계자들과 함께 지속 가능한 미래를 만들어 나갈 것입니다.
MBC는 이러한 책임을 인식하고, 다양한 환경 기여 콘텐츠 제작과 환경 보호 캠페인을 통해 지속 가능한 사회를 만들어가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또한, 내부적으로는 온실가스 배출량과 폐기물 배출량을 줄이기 위한 다양한 정책과 실천을 통해 환경 경영 성과를 꾸준히 개선하고 있습니다.
MBC의 환경 경영은 단순히 기업의 이미지 제고를 넘어, 실질적인 환경 보호와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구체적인 행동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MBC는 앞으로도 환경 경영을 지속적으로 강화하여, 공영방송으로서의 책임을 다하고, 모든 이해관계자들과 함께 지속 가능한 미래를 만들어 나갈 것입니다.
환경 경영 체계
MBC는 지속가능성 제고를 위하여 매년 경영계획에 사회적 책임 실현을 위한 경영 목표를 설정합니다. 구체적인 환경 경영 관련 목표는 2025년 경영계획부터 반영될 예정입니다.
MBC 프로그램 제작가이드라인 (생명, 자연, 환경)
- 방송은 생명의 존엄성을 존중하며, 프로그램 제작을 위해 살아있는 동·식물을 학대하거나 의도적으로 위해를 가하지 않는다. 동·식물에 심각한 위해를 줄 수 있는 위험한 장면은 실제 동·식물이 아닌 모형이나 CG 등을 활용한 연출을 원칙으로 한다.
- 방송은 기후 변화와 생태계 파괴 문제를 인류에 대한 심각한 위협으로 간주하며, 즉각적이고 실질적인 개선이 이뤄질 수 있도록 시청자의 관심과 참여를 유도한다.
- 인간의 삶을 위한 개발 수요와 자연 환경 보전의 논리가 첨예하게 대립하는 경우, 선입견을 배제하고 양측의 주장과 그 근거를 객관적으로 검증한다.
- 외부 촬영 시 현장의 식생을 훼손하지 않도록 각별히 유의한다. 생태계 보전 지역 등 민감한 장소에서는 반드시 전문가와 사전에 상의하고, 가급적 현장 자문역과 동행하여 촬영한다. 촬영을 마친 뒤에는 반드시 현장을 본래 상태에 최대한 가깝게 복구한다.
- 동물을 방송에 출연시키는 경우 제작진은 동물보호법이 규정하는 동물 보호의 기본 원칙을 충실히 준수해야 한다.
환경 기여 콘텐츠
-
<모두의 챌린지> (2023.10.27~2023.12.15)
지구를 살리는 자신만의 실천이 모두의 실천이 될 때까지. 시청자가 직접 참여하여 선한 영향력을 확대하는 프로그램
-
<다큐플렉스> (2023 연중)
<아마존의 눈물>, <남극의 눈물>, <북극의 눈물>, <휴머니멀> 등 지구의 지속가능성과 생명 존중의 가치를 담아온 고품격 다큐멘터리
-
<MBC다큐프라임> (2023.2.26, 2023.6.25)
생물 다양성과 탄소 흡수력으로 기후 위기의 해답이 될 미래 생태자원으로 새롭게 주목받고 있는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 '순천만 갯벌' 등
-
<MBC뉴스데스크> (2023 연중)
뉴스룸 내 기후환경팀을 설치하고 '지구한바퀴', '위기의 국립공원', '기후위기 목격자들' 등의 기획 보도를 통해 환경에 대한 다양한 이슈를 발굴하여 보도
-
MBC라디오 <ESG 캠페인> (2023.10)
"ESG 우리가 가야할 길입니다"라는 슬로건으로 ESG 관련 국내외 사례를 소개하는 라디오 캠페인 진행
환경 경영 사례
사내 환경 캠페인
- 매년 냉난방 공조기 및 급배기팬 가동시간을 조정하는 한편 사무실 전등을 점심시간에 일괄 소등하여 에너지 절약 (2023년 1.21억 원)
- 에너지 절약문화 확산을 통한 탄소중립 실현, 기후위기 문제에 대한 공감대 확산을 위해 '지구의 날', '에너지의 날' 등 행사에 적극 참여 중
임직원 물품기부 캠페인
- 자립준비 청년의 안정적 사회진출 기반 마련을 위하여 재단법인 아름다운가게와 함께 본사 및 자회사 임직원 물품기부 캠페인을 진행 (2023.11.1. ~2023.11.17)
- 본사 및 자회사 임직원 155명, 단체 8팀이 총 2,556점의 물품을 기부
- 기부 물품은 '좋은친구 MBC와 함께하는 아름다운 하루' 행사에서 판매되고 이를 통해 조성된 수익금과 이에 대응하는 본사의 기부금(매칭 그랜트)으로 자립준비청년 인턴십 사업을 지원함 (2023.12.8)
- 아름다운하루 행사를 통해 판매된 기부 물품을 재사용하면서, 폐기 시 발생하는 443kgCO2e의 탄소 배출을 절감할 수 있었고, 이는 30년 된 소나무 52그루가 1년 동안 흡수하는 탄소량과 동일하며 카페컵 19,028개, 종이컵 64,628개, 비닐봉투 9,338개를 줄인 효과가 발생함
친환경 기술
절전 설비 확대 및 운용시간 조정
- 스튜디오 조명 설비를 절전형 조명설비(LED)로 단계적으로 교체하고 있으며, 그에 따라 2023년에는 15.91 toe를 절감했고, 2024년 말까지 94.77 toe를 추가 감축할 계획
- 공용부 조명을 절전형 LED로 교체하고, 회사가 운영 중인 옥외 미디어보드 3개소의 운영시간을 탄력적으로 조정하여 사용 전력 절감
전기차 및 관련 충전 시설 확대
- 2022년부터 취재용 차량을 전기차로 교체하기 시작하여 2023년 말 현재 전기차 13대 운영 중이며, 단계적으로 확대 계획
- 2021년 10월 전기차 충전소를 사옥 내에 마련(급속 2대, 완속 3대)
- 사내 주차장에 전기차 충전 가능한 벽부 콘센트 확대
태양광 발전 설비 실적
- 상암사옥 옥상에 태양광 발전 설비를 설치 운용 중
구분 | 단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
실적 | MWh | 69 | 68.1 | 69.85 |
투명 페트병 재활용 연간 배출량
- 2022년 5월부터 ESG경영 일환으로 폐자원의 재활용을을 위해 회수 장치 운용 중
구분 | 단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
파쇄 플라스틱 | kg | - | 3,680 | 5,500 |
환산 금액 | 천원 | - | 736 | 1,100 |

작업장의 환경성
- MBC는 건축물의 환경 영향을 최소화하고자 함
- MBC 상암 사옥은 2013년 녹색건축물 조성지원법에 따른 EPI 점수가 81.8점으로 녹색 건축인증 우수 등급을 받음


환경 경영 성과
(상암 사옥 기준)
온실가스 배출량
구분 | 단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
온실가스 배출량 | tCO2e | 16,633 | 16,732 | 집계 중 |
Scope1 | tCO2e | 498 | 428 | 집계 중 |
Scope2 | tCO2e | 16,135 | 16,305 | 집계 중 |
온실가스 집약도 | tCO2e/억원 | 2.836 | 2.152 | 집계 중 |
에너지 사용량 | TJ(toe) | 361 | 364 | 집계 중 |
연료 사용량 | TJ | 7.627 | 7 | 집계 중 |
전기 사용량 | TJ | 285.5 | 282 | 집계 중 |
스팀 사용량 | TJ | 68.7 | 75 | 집계 중 |
에너지 집약도 | TJ/억원 | 0.052 | 0.047 | 집계 중 |
매출액 | 억원 | 6970.9 | 7774.6 | 집계 중 |
에너지 목표 관리 현황
- MBC상암 사옥은 「에너지이용합리화법」에 따라 에너지 사용량과 사용계획을 매년 한국에너지공단에 보고하고 있으며, 기존 에너지 사용량 추이를 바탕으로 매년 에너지 사용 목표를 설정하여 관리하고 있음
- 온실가스 집약도 = 온실가스 배출량 / 매출액
- 에너지 집약도 = 에너지 사용량 / 매출액
- 2023년 실적은 2024.9 경에 최종 확정 예정
- toe (tonnage of oil equivalent): 석유를 중심으로 환산한 단위
- tCO2e (tonnage of carbon dioxide equivalent): 다양한 온실가스 배출량을 등가의 이산화탄소 양으로 환산한 것
- TJ (Tera Joule): 모든 에너지원의 단위를 J(줄)로 환산한 것
수자원 사용량
구분 | 단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
용수 사용량 | ton | 105,537 | 117,036 | 116,198 |
폐기물 배출량
구분 | 단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
폐목재 | kg | 38,020 | 45,750 | 50,170 |
합성수지 | kg | 104,508 | 18,730 | 48,120 |
생활폐기물 | kg | 230,489 | 211,926 | 205,058 |
(종량제봉투) | 수량 | 12,131 | 13,502 | 14,390 |
생활페기물(위탁) | kg | - | - | 5,960 |
음식물 폐기물 | TJ/억원 | 120,750 | 110,310 | 109,025 |
참고
- 기존 생활폐기물을 종량제봉투에 담아 배출 마포구청에서 처리하였으나, 관련법 개정에 따라, 2023년 12월부로 외부 위탁 처리 시행 중
- 2021년 ~ 2022년 4월까지 종량제봉투(100리터) 사용, 2022년 5월 ~ 2023년 11월까지 종량제봉투(75리터) 사용